요즘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이 많이 안좋아지고 있죠..
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는 아니지만 저성장을 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기도 합니다..
전문가 말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동안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3.0%~3.2% 정도가
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는데요.
여기에서 잠재성장률이란,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물가 상승 등의
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적 성장률을 의미합니다.
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4.8%~5.2%에서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
앞으로인 2015년부터 2018년에는 3.0~3.2%에 머무를 것으로 관측된다고 합니다.
경제성장률이 점점 올라도 모자를판에 점점 떨어지고 있다니..
앞으로 우리나라가 얼마나 저속성장을 할지.. 심히 걱정이 됩니다.
이렇게 잠재성장률이 떨어지는 주요 원인은 총요소생산성 기여도가 2001년부터 2005년에는 2.0%포인트였으나,
2011년부터 2014년에는 0.8%포인트로 크게 낮아진 점이라고 예측을 하고 있네요.
또한, 다른 전문가들은 잠재성장률을 2%대로 보기도 하는데요..
3%대도 적다고 생각했는데, 2%대라니...
앞으로 점점 더 경제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생각을 하니까 앞이 깜깜한 것 같네요..
어떻게 하면 경제성장률을 올릴 수 있을까요..
기술진보 둔화와 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로 인해서 경제성장률이 떨어졌다고 하니,
이를 한시라도 빨리 해결하여 다시 경제성장률을 올리게 되기를 바래봅니다.